[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창양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개설] 창양리에 있는 청송 경모정(敬慕亭)은 조시구(趙時玖)[1634~1709]의 네 아들이 선조를 기리기 위하여 1736년(영조 12)에 건립하였다. 조시구의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구옥(久玉), 호는 창야(蒼野)로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위치] 청송 경모정은 청송군 현동면 창양리 중장마을에 있는 후송당(後松堂)에서 북쪽으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있다.
[변천] 청송 경모정은 조시구의 네 아들이 1736년 선조들을 기리고 아버지의 학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조시구의 유지(遺址)에 건립하였다. 처음 건립했을 때 정자의 명칭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20세기 전반 후손 조석제(趙錫濟)가 작성한 「경모정기(敬慕亭記)」에 따르면, 아버지 대에 문중 사람들이 의논하여 조상을 공경하고 추모한다는 의미에서 정자 이름을 ‘경모(敬慕)’라 명명하였음이 나타난다. 또한 1910년 무렵 현동면의 주사(主事) 안겸두(安兼斗)가 이곳에서 야학을 열었다고 한다.
[형태] 청송 경모정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이다. 평면은 가운데 마루를 중심으로 왼편과 오른편에 각각 온돌방 1칸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으로 정자의 좌우 측면에 반칸 크기의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가구(架構)는 5량가(五樑架)로 기둥 상부에는 간략한 운공 형태의 보아지가 장식되어 있고, 창방 위에는 소로가 수장되어 있으며, 처마는 홑처마이다.
[현황] 처음 건립된 후 개보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이력은 명확하지 않다. 관리인은 따로 거주하지 않으며, 함안조씨 신당공파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2018년 2월 26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5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청송 경모정은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의 정자 건축으로 조선시대 유생(儒生)의 풍류를 느낄 수 있는 경상북도 청송군의 정자이다. 정자에는 연귀 맞춤한 고식의 창호 틀이 남아 있으나, 후대에 크게 중수된 듯 보이며 조선 후기의 건축 형식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청송누정록』(청송문화원, 2000) 『문화유적분포지도』-청송군(청송군·안동대학교박물관, 2006) 『청송의 전통건축물』(명성사, 2015) 『청송문화재대관』(청송군, 2016)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청송의 樓.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송의 魂 樓亭 .16] ‘그리움과 탄식 사이…’ 청송 안덕면의 망운정·남포정·지악정·방호정 (0) | 2018.01.18 |
---|---|
[청송의 魂 樓亭 21 ·<끝>] 시리즈를 마치며…한동수 청송군수 인터뷰 (0) | 2018.01.17 |
[청송의 魂 樓亭 .20] ‘청송심씨(靑松沈氏)의 본향’…청송 파천면 덕천리의 경의재·요동재사·소류정·벽절정 (0) | 2018.01.17 |
[청송의 魂 樓亭 .19] ‘조상의 선행과 그 뜻이 담긴’…청송 파천면의 담포정·기곡재사·귀래정·학산정 (0) | 2018.01.17 |
[청송의 魂 樓亭 .18]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뜻’…청송군 진보면의 풍호정·약산정·율간정 (0) | 2018.01.17 |